티스토리 뷰

제2장. 심리검사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1. 심리검사와 법률

- 1964년 '시민법 제정' 이후 심리검사가 법률적관점에서 조명되기 시작함

>특정집단을 차별하지 말고 공정하게 선발 할 것

- 고용기회균등위원회(EEOC): 시민법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조직에서 사용한 절차의 타당성 검증

>1966년 'EEOC지침서'를 제작함

- 심리검사에 법적소송이 걸린 최초의 판례는 "그릭스 V.듀크 파윈(1971)"이다.



"공정한 검사란 특정 직무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이나 능력을 공정하게 측정해야 하며, 

검사점수가 직무와 관련된 직업행동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것"



2. 심리검사와 윤리

2.1)윤리강령

- 미국심리학회에서 심리학자들이 지켜야 할 [심리학자의 윤리강령](1981)


>윤리강령 5항은 "비밀보장"을 다룬다

- 개인의 비밀을 보장해 줄 의무가 있고 경우에 따라 그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윤리위원회에게 판단 요청)


>윤리강령 8항은 "평가기법"을 다룬다

①충분히 설명받을 권리가 있음

②과학적 절차를 따라야 하며

③타당도와 신뢰도의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④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으며

⑤결과보고가 남용되지 않게

⑥공인된 심리학자만 평가하도록 한다.


2.2)사전동의

- 수검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절차에 관해 사전에 명확히 설명한다

- 심리검사를 받겠다고 할 경우에 한해서만 심리검사를 실시한다



3. 심리검사와 사회

3.1)검사과정의 공정성

- 특정집단의 사람이 시험을 치르는데 불리한 장애가 있을 경우 불공정하다


3.2)검사결과의 공정성

- 선발 이후 공정성에 문제는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달라진다 (효율성 VS 공정성)

- 보수(효율성 강조) / 진보(형평성 강조)

- 심리검사는 특정집단에게 기회를 주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기회균등)


3.3)검사 사용의 불공정성 감소방안

①중다평가 방법: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평가한 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 다른 검사에서 만회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②다단계결정 방법: 아주 나쁜 점수만 받지 않으면 다음 단계에서 선발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