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심리측정에서의 기본 통계 1. 척도의 종류①명명척도: 사람이나 사물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 ②서열척도: 개인간의 순위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음, 그러나 동간 차이에 대한 정보는 없음 ③동간척도: 수치 사이의 간격이 동일함, 그러나 수치 간의 비율적 정보는 모름 ④비율척도: 세가지 척도가 제공하는 정보 이외에 추가로 비율에 관한 정보를 제공-서열척도인지 동간척도인지 구분하는 목적은 척도수준이 통계기법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기때문이다.-t검증and 변량분석- 동간,비율척도 일 때 사용 2. 심리검사와 관련된 기초 통계 ①평균: 한 집단의 속하는 모든 사람의 점수를 더하여 집단의 사람 수로 나눈 값 ②표준편차: 사람들의 점수가 평균 값에 몰려 있는지 또는 얼마나 퍼져있는가의 정보값 ③상관(계수): 두..
제2장. 심리검사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1. 심리검사와 법률- 1964년 '시민법 제정' 이후 심리검사가 법률적관점에서 조명되기 시작함>특정집단을 차별하지 말고 공정하게 선발 할 것- 고용기회균등위원회(EEOC): 시민법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조직에서 사용한 절차의 타당성 검증>1966년 'EEOC지침서'를 제작함- 심리검사에 법적소송이 걸린 최초의 판례는 "그릭스 V.듀크 파윈(1971)"이다. "공정한 검사란 특정 직무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이나 능력을 공정하게 측정해야 하며, 검사점수가 직무와 관련된 직업행동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것" 2. 심리검사와 윤리2.1)윤리강령- 미국심리학회에서 심리학자들이 지켜야 할 [심리학자의 윤리강령](1981) >윤리강령 5항은 "비밀보..
제1장. 검사와 측정에 대한 이해 1. 측정 1)측정: 규칙에 의거해서 대상이나 사건에 수를 할당하는 과정-구성개념: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 낸 심리적 속성 개념-구성개념이 만들어지는 과정, 측정되는 순서 ①행동을 관찰 ②행동의 유사성을 통해 심리적 구성개념을 만듦 ③조작적 정의를 내림 ④검사(특정영역에서 일련의 행동을 표집하는 표준절차)및 측정 2)구성개념 측정에서의 문제점①사람마다 구성개념의 행동을 정의하는 것이 다르다②어떠한 구성개념을 측정할 경우 모든 행동을 포함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③구성개념을 측정할때는 항상 오차가 발생된다④심리적 구성개념은 '0'점이 없는 등간척도를 따른다⑤심리적 구성개념은 다른 개념과 관계를 보여야만이 진정한 의미가 있다 2.심리검사 1)심리검사란⑴행동표본: 개..
-2015.11.9일에 주문한 나의 첫 시계! 2015.11.11일에 일본에서 건너왔다지샥매니아카페를 주문하기 전날 하루종일 정독한 결과, 내가 원하는 시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번째!! 스톱워치기능 -공부량을 측정하는데 핸드폰을 더 이상 꺼내지 않아도 된다두번쨰!! 메탈밴드의 고급스러움! 물론 완벽한 메탈은 아니지만 일반 군용시계와 차이를 보이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ㅎㅎ세번째!! 반전액정- 사실 그 전까지는 반전액정이 무엇인지 몰랐으나, 일반 액정보다 고급스러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친구들은 이 시계를 보고 군용시계라고 생각하고 뭐하러 비싼돈 주고 샀냐고 반문하였지만 ㅠㅠ시계에 있어서만큼은 사치품이니 나도 기분좀 내보고 싶었다직장을 가질때까지 이 시계를 열심히 착용해야지 ㅎㅎㅎ 물론 이후..